적금 자동이체 설정 방법
적금 자동이체는 매월 정해진 날짜에 목돈 마련을 위해 꾸준히 저축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은행별 스마트뱅킹 앱이나 인터넷뱅킹을 통해 간단히 설정할 수 있으며, 한번만 해두면 이후에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아래 안내를 따라 단계별로 자동이체를 설정해 보세요.

1. 인터넷뱅킹 또는 스마트뱅킹 앱 접속
먼저 본인이 거래 중인 은행의 인터넷뱅킹(www.◯◯은행.com) 또는 스마트뱅킹 앱(◯◯ Bank)을 실행하고 로그인하세요. 공인인증서(또는 공동인증서), 간편비밀번호, 생체인증 중 은행에서 제공하는 방법으로 본인 인증을 완료해야 합니다.
2. 적금 상품 선택 및 자동이체 메뉴 이동
로그인 후 메뉴에서 ‘적금조회’ 또는 ‘적금가입’ 항목을 찾습니다. 이미 개설된 적금이 있다면 적금 상세화면으로 이동하여 ‘자동이체 설정’ 메뉴를 선택하고, 신규 적금을 가입하려면 적금 가입 절차 중 ‘자동이체 신청 여부’를 ‘예’로 체크합니다. 자동이체 항목은 보통 납입방법 또는 이체관리 메뉴에 있습니다.
3. 출금계좌 및 납입일 지정
자동이체 출금계좌를 선택하고, 매월 저축할 금액과 납입일(1일·5일·15일·25일 등)을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매월 5일에 10만 원씩 자동이체를 원한다면 ‘출금계좌 = ○○은행 123-456-7890’, ‘납입일 = 5일’, ‘금액 = 100,000원’을 입력하세요. 일부 은행은 최소 납입금액 기준이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4. 이체 한도 및 이체 기간 설정
자동이체 이체 한도를 정해야 합니다. 한도는 월 납입금액 또는 월 최대 이체 금액 중 선택할 수 있고, 본인이 설정한 금액보다 높게 잡아두면 부족 시에도 이체가 정상 처리됩니다. 또한 적금 만기까지 자동이체를 유지할지, 특정 개월 수만 설정할지 기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5. 설정 확인 및 완료
마지막으로 설정 내용(출금계좌·납입일·금액·기간)을 다시 확인한 뒤 ‘신청’ 또는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자동이체가 완료됩니다. 설정 후에는 ‘이체내역’ 또는 ‘자동이체 관리’ 메뉴에서 정상 등록됐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6. 은행별 대표 설정 화면 비교
주요 은행 앱마다 화면 구성은 다르지만, 메뉴명과 절차는 대동소이합니다. 아래 표에서 은행별 메뉴 위치를 참고하세요.
은행 | 메뉴 경로 | 특징 |
국민은행 | [상품]→[내 적금]→[자동이체] | 간편조회·금리 우대 쿠폰 제공 |
신한은행 | [전체]→[나의자산]→[적금]→[자동이체] | 이체 알림 Push 지원 |
하나은행 | [상품]→[내 금융]→[적금]→[자동이체 설정] | 생체인증 간편결제 연동 |
카카오뱅크 | [내 계좌]→[저축]→[적금]→[자동이체] | 비대면 100% 처리 |
적금 자동이체는 한 번만 설정하면 꾸준한 저축 습관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간편한 방법입니다. 납입일과 금액, 이체 기간을 정확히 지정하고, 설정 후 이체 내역을 확인하는 절차를 빠뜨리지 마세요. 자동이체 기능을 잘 활용해 목표 금액을 차곡차곡 모아 보시기 바랍니다.